Web 2.0
- 일방향적 소통 -> 양방향적 소통
- 기업이 db 소유
Web 3.0
- 사용자들이 데이터에 대해 더 많은 권리(소유, 제어)
- 블록체인의 분산 네트워크, 스마트 컨트랙트 -> 탈중앙화 -> 분산화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데이터 저장
- Truthless(신뢰가 필요 없는), 검열 저항성
- 비트코인 + 양방향적 소통 방식, 데이터의 소유 = 이더리움
비트코인
- 존 메이너드 케인스 '방코르' -> 데이비드 차움 '이캐시' -> '디지캐시' -> '이지캐시' -> '해시캐시' 등등
- p: 이중지불문제? 단일 화폐 단위가 두 번 결제되어 생기는 문제 -> s: 비트코인
- 세계 최대 시총, 최초로 만들어진 암호화폐(= 가상화폐 + 블록체인)
- 작업 증명 방식 채굴(PoW)
- 사토시 나카모토 '비트코인' 제네시스 블록
- 디지털 화폐(CBDC) vs 암호화폐(비트코인)
- 탈중앙화, 합의 알고리즘, 스마트 컨트랙트
코인 vs 토큰
- 암호화폐 부르는 말이다
- 블록체인 네트워크(메인넷)의 유무로 구분 (코인은 자체 메인넷 O, 토큰은 다른 코인의 메인넷을 사용, 스마트 컨트렉트)
- 유틸리티 토큰/증권형 토큰/스테이블 코인/NFT(유일무이한 토큰 ID를 가진 대체 불가능한 코인)
토큰 이코노미
- 합의 알고리즘: 신뢰관계 없는 사용자들이 계산된 결과 값 검증, 통일된 의사 결정 내림
- 토큰 보상구조: 블록 생성을 위한 보상이 필수적이다( = 비트코인이 incentive로서도 기능함)
- 토큰 이코노미: 블록체인 기술로 뒷받침되는 경제 시스템. 토큰의 역할은 특정 행동을 강화하는 것. 네트워크 확장이 궁극적 목표. 토큰을 행동심리학 관점에서
ex) stepn
- 토큰노믹스: 토큰을 경제학의 관점에서, 좋은 토크노믹스란 가격과는 별개로 프로토콜이 건강한 상태로 유지(프로토콜 입장), 수요>공급 토큰 가격이 오름(생태계 참여자들 입장)
- 토큰 유통 전략: 퍼블릭 대상으로 토큰 판매 -> 토큰 물량의 락업 -> 락업 해제 // 토큰 스테이킹: 토큰을 프로토콜에 예치 ex: SNX
- 유틸리티토큰: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특정 제품,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암호화폐
ex: ApeCoin
- 거버넌스를 통해 프로토콜 수입금의 일부를 토큰 보유자에게 돌려주는 방향으로 의사결정하는 사례 많아짐
블록체인 생태계
- 서비스 개발자, 블록체인 네트워크, 사용자는 서로 공생하고 협업하는 관계 형성
- 레이어 1+레이어2+인프라, 탈중앙화 거래소 등등
- 블록체인 네트워크: 레이어1+레이어2
원) 모놀리틱 블록체인(블록체인 트릴레마 ㅜㅜ) -> 현) 레이어1(탈중앙성+보안성) 레이어2(확장성)
- 레이어 1: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, 메인넷, 독립적으로 트랜잭션 검증 및 최종 승인, 데이터 검증과 기록
- 레이어 2: 병렬적인 외부 네트워크 사용, 시간과 용량 많이 소모하는 데이터 처리 담당, 보안성 문제, 중앙화 되어있을 가능성
ex) 라이트닝 네트워크-스테이트 채널, 아비트럼-옵티미스틱 롤업
- 블록체인 지갑: 데이터의 형태로 자산 보관(공개키, 개인키), 핫 월렛(인터넷 o), 콜드 월렛(인터넷 x), 가상 자산 거래소에서 사용
- 가상 자산 거래소: 중앙화 거래소, 탈중앙화 거래소
- 브릿지 = 환전소 역할, 락 앤 민트 방식, 유동성 네트워크 방식
- 블록체인 익스폴로러: 블록체인 검색 엔진, 블록체인 생태계의 투명성과 신뢰성 제고
- NFT 거래소: 업비트, 바이낸스
NFT
- 대체 불가능한 토큰: 단일 NFT 별로 그 내재 가치가 모두 다름
- 개발 프레임워크: erc-721, erc-1155
- NFT 발행으로 디지털 파일, 실물 자산 등을 디지털 자산으로 만들 수 있음(원본 유무 판별 가능), 하나의 유일한 진품을 만들 수 있음
- 소유권 관련해서도 확인 가능
- 예술품, bayc, 푸빌라 수사이어티, pfp nft
STO(Secutiry Token Offering)
- 법적 규제의 테두리 안에서 자금 조달 가능
- 증권형 토큰: 하나의 자산 또는 네트워크에 대한 소유권을 증명하고 보장하는 암호화폐, 일종의 주식, 실물 자산 -> 토큰, 권리&의무 수반, 기존의 자산 분할 소유 가능 -> 조각 투자 ex) kasa, tessa
- 투자 상품의 디지털 권리 증명서, STO 통해 발행, 블록체인 기반 분산 원장 기록, 증권법상 규제 대상
디파이(Defi)
- 탈중앙화 금융, 개방적이고 세계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금융 시스템
- 스테이블 코인: 기존 법정 화폐, 다른 자산 가치 연동 -> 가격 안정성 보장
'대외활동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Yahoo Finance로 회사별 주식 데이터 가져오기 (1) | 2024.11.25 |
---|---|
[Toy Project] Spring Boot + Docker + EC2 로 배포해보기 (0) | 2023.08.30 |
[웹 3.0] Xangle 기술 정리 (0) | 2023.07.19 |
[웹 3.0] Xangle 사업개발 정리 (0) | 2023.07.16 |
댓글